-
https://www.acmicpc.net/ 1110번 x = int(input()) num = x count = 0 while 1: a = num//10 b = num%10 c = (a+b)%10 num = (b*10) + c count += 1 if (num == x): break print(count)
1. 예시로 26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는 (10의 자리 2)와 (1의 자리 6)이 필요하다
2. (10의 자리 2)를 10 나누기 몫으로 구하는 (a)와 (1의 자리 6)을 10나누기 나머지로 구하는 (b)이다
3. 그리고 두개의 값을 더해서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c)이다
4. while문에 들어가기 전에 num을 통해 x값을 선언하고 순환될때 마다count += 1을 통해 더해간다
5. if문을 통해 while문에서의 num값이 while문 밖에서 선언한 값과 같아지면 break를 통해 탈출한다
10807번 n = int(input()) n_list = list(map(int, input().split())) v = int(input()) print(n_list.count(v))
1. 정수의 개수 n, 정수 n_list, 찾으려고 하는 정수 v 를 입력 받는다
2. 입력으로 주어진 n_list 중에 v가 몇 개인지 출력한다
- count : python 리스트 내장 메소드 count() 는 매개변수로 입력된 값이 리스트 안에 몇개 있는지 세어 반환해준다
10871번 n, x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a[i] < x: print(a[i], end = " ")
1. map 함수를 이용해서 각각 정수(int)로 입력받았다
2. a 변수를 list에 숫자들을 int으로 넣는다.
3. for문을 이용해 범위를 설정한다 range(n)
4. if문을 이용해서 list에 있는 숫자들이 x보다 작을때 출력한다
5. end = " "를 통해 한 칸씩 띄어서 출력한다